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PER4

주가수익비율 PER가 업종 비교에 나오지 않는 이유, 주식 공부 주식 종목에서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적자를 기록한 경우 (순이익이 0 이하인 경우) PER은 "주가 ÷ 주당순이익(EPS)"으로 계산됩니다. 그런데 기업이 순손실(적자)을 기록하면 EPS(주당순이익)가 음수가 되므로, 의미 있는 PER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PER이 "-" (대시) 또는 "N/A" (Not Available)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주당순이익(EPS) 데이터가 없는 경우 새로 상장한 기업(IPO)일 경우, 아직 재무제표가 공개되지 않아 EPS가 미확정일 수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연결 재무제표와 별도 재무제표를 따로 발표하는데, 어느 기준을 사용할지 명확.. 2025. 1. 19.
주식 매매시 PER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 주식 주식 거래를 하시는 분이라면 PER에 대해서 들어보셨을겁니다. 이번에는 주식 매매할때 PER를 확인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 봅니다.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은 주식 투자 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PER를 확인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업의 가치 평가 PER는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 대비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공식: PER = 현재 주가 ÷ 주당 순이익(EPS) PER가 낮으면,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PER가 높으면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비교를 통한 판단 같은 업종이나 동종 기업의 PER과 비교하면,  해당 기업이 업계 평균에 비해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 2024. 11. 21.
주식 투자할때 사용되는 투자 지표 PER, PBR, ROE, EPS 의미와 활용 주식 지표  PER, PBR, ROE, EPS 의미와 활용법을 정리해봅니다.주식 투자에서 사용하는 PER (Price to Earnings Ratio), PBR (Price to Book Ratio), ROE (Return on Equity), EPS (Earnings Per Share)는 기업의 수익성, 가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각각의 의미와 활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PER = 주가 / 주당 순이익 (EPS) PER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 대비 주가가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PER이 낮으면, 기업의 이익 대비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활용저평가.. 2024. 10. 30.
주식 거래시 사용할수 있는 지표 주식 거래에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지표들은 크게 기술적 분석 지표와 기본적 분석 지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지표는 시장 움직임을 예측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기술적 분석 지표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가격 움직임과 거래량을 바탕으로 미래의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MA)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산출하여 추세를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20일선, 60일선 등 다양한 기간으로 분석합니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두 개의 이동평균선 간 차이를 이용해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주가의 상승과 하락 속도를 비.. 2024. 10.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