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주식 매매시 PER를 확인해야 하는 이유 - 주식

by 마이뷰. 2024. 11. 21.
728x90
반응형

주식 거래를 하시는 분이라면 PER에 대해서 들어보셨을겁니다.

 

이번에는 주식 매매할때 PER를 확인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 봅니다.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은 주식 투자 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PER를 확인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식 거래시 PER

 

기업의 가치 평가

 

PER는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 대비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공식: PER = 현재 주가 ÷ 주당 순이익(EPS)

 

PER가 낮으면, 주가가 기업의 수익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PER가 높으면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식 거래시 PER

비교를 통한 판단

 

같은 업종이나 동종 기업의 PER과 비교하면,

 

해당 기업이 업계 평균에 비해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예) A기업의 PER: 10배, B기업의 PER: 20배라면, A기업은 비교적 저평가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시 PER

 


미래 성장을 안다

 

PER는 기업의 현재 수익성과 시장의 성장 기대치를 반영합니다.

 

PER가 높다면, 시장이 해당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PER가 낮다면, 성장성이 낮거나 시장의 신뢰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시 PER

PER를 보고 투자 위험 확인

 

PER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단순히 저평가된 것이 아니라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었거나, 재무 구조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ER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미래 수익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거품 위험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시 PER 확인

 


적정 주가 계산

 

투자자들은 PER를 활용해 기업의 적정 주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적정 주가 = PER × 예상 주당 순이익(EPS)

 

이를 통해 현재 주가가 합리적인 수준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식 거래시 PER

PER의 한계점 보완

 

PER는 유용하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익이 적거나 적자인 기업의 경우 PER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PBR(주가순자산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 등의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 거래시 PER

 

주식 거래시 PER 확인해야 하는 이유

 

기업의 현재 가치와 시장 기대치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동종 업계와 비교해 상대적 투자 매력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투자 위험을 사전에 관리하고, 적정 주가를 계산해 볼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